
저는 군종교구 공군 중앙본당 성가대 지휘자입니다. 평생 군인으로 살아온 저는 전역한 후에도 군종 본당에서 봉사하고 있습니다. 우리 본당에는 인원이 많지는 않지만, 주님을 위해 진정으로 자신을 봉헌하는 성가대가 있습니다. 군종 본당은 일반적인 지역에 있는 성당과 달리 군인과 가족을 위한 성당이다 보니 신자 수가 많지 않습니다. 작은 공동체이기에 당연히 성가대로 활동할 수 있는 수도 적습니다. 저는 그 작은 공동체 안에서 하느님의 기적을 느끼고 확인하며 살아가고 있습니다.
2002년 광주에서 근무할 때였습니다. 그 본당에는 단체로 미사에 참여하는 병사들이 있었습니다. 신자들도 있었지만, 동료들을 따라 성당에 온 비신자들도 있었습니다. 저는 그들과 공동체의 일원으로 좀 더 가깝게 지내기 위해 성가대를 만들었습니다. 악보를 보지 못하는 친구들도 많았고 합창에 필요한 소리도 잘 못 내는 친구들도 있었습니다.
성탄을 준비하기 위해 우리는 노엘 미사곡을 연습했고 시간이 흐르며 성가대다운 화음이 나오기 시작했습니다. 성탄 전야 미사가 진행되는 동안 우리가 준비한 성가는 모든 신자가 뒤를 돌아볼 정도로 아름답게 성당을 가득 채웠습니다. 미사가 끝나고 우리 성가대원들은 눈물을 흘리며 서로를 껴안고 하느님께 감사를 드렸습니다. 친구 따라 성당에 온 병사들도 신자가 되길 약속하는 결과를 얻었습니다.
일반적으로 신자 수가 적은 본당에서는 성가대를 운영하기 어렵습니다. 누군가 성가대를 지휘해야 하고 반주자도 있어야 합니다. 하지만 주님께선 구하는 자에게 구하는 것을 주십니다. 우리가 진정으로 원하고 하느님을 찬양하고자 하는 마음이 충만하다면 원하는 부분을 채워주십니다. 많은 사람이 있어야 꼭 성가대가 만들어지는 것은 아닙니다. 반주자가 없으면 누군가 기타를 연주하며 같이 성가를 할 수 있습니다. 그런 모습이 아름다워 주님은 더 많은 사람을 채워 주시고 보내주십니다.
성가를 잘 부르는 것도 중요하지만, 먼저 같이 참여하는 자세와 주님을 찬미하고자 하는 마음이 더욱 중요하다고 생각됩니다. 성가는 주님께 올리는 기도입니다. 아우구스티노 성인은 “성가는 일반적인 기도보다 두 배의 정성이 들어가는 기도”라고 하였습니다.
오늘도 여러분과 같이 성가를 통해 주님께 찬미를 올리는 성가대에 힘을 주는 감사의 말 한마디를 건네주는 은총의 하루가 되길 기원합니다.
출처: 가톨릭평화신문